본문 바로가기

성경 연구 자료실

[스크랩] 엘리판두스의 양자론 (養子論)

양자론은 다음의 그리스도교가 말하는 대표적 두가지 이단설 중의 하나이다.

 

그 한 가지는 2~3세기에 발전했던 역동적 단일신론이며 다른 하나는 8세기 스페인에서 시작하여 톨레도의 대주교 엘리판두스의 가르침과 관련된 이단설을 말한다.

 

이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인성과 신성의 두 본성을 구분하였다.

 

대주교 엘리판두스는 인성을 지닌 그리스도와 본질상 하느님의 아들인 신적인 그리스도를 구별해서 '양자'(養子)라고 불렀다.

 

따라서 '말씀'에 의해 수태된 마리아의 아들은 본질상 하느님의 아들이 아니라 양자에 불과하다고 했다.

 

그리스도에 대한 이러한 견해는 곧 반박을 받았고, 교황 아드리아누스 1세가 개입하여 이 가르침을 단죄했다.

 

엘리판두스는 우르헬의 주교 펠릭스의 지지를 받았다.

 

798년 교황 레오 3세는 로마에서 공의회를 소집하여 펠릭스의 양자론을 단죄하고 그를 파문했다.

 

799년 펠릭스는 이 견해를 어쩔 수 없이 철회하고 감시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엘리판두스는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계속 톨레도의 대주교직을 수행했다.

 

그가 죽은 뒤 양자론은 영향력을 잃고 소멸되었으나 12세기에 페트루스 아벨라르두스 및 그의 추종자들의 가르침에서 잠시 되살아났다.

출처 : 휘오데시아
글쓴이 : 네페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