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초의 종류
산나물 종류와 먹는 방법..독초, 응급처방-생존,산야초차,야생화장식,잘못된상식,,버섯
내가 알고 있었던 나물
쑥=인진쑥,제비쑥 개똥쑥, 구와쑥, 국화과, 덤불쑥, 비단쑥, 사철쑥, 산쑥, 참쑥 등 40여종류,
취나물(곤달비)=참취=(무추,촛딩이)),곰취,흰취(수리취,떡취),미역취(쓴맛-말려),벌개미,개미,제비,
단풍취=개대가리,각시취,부지깽이(개취),
싸리(조록,땅비,참,물,잡싸리)
냉이(나생이,제채)=고추냉이,황새=두렁,싸리,는쟁이(산갓),미나리,나도말냉이,황새,미나리냉이등 다수,
제비꽃(다닥,졸방,남산,고깔,금강,단풍제비꽃등 다수),씀바귀(잎에 얼룩,씸배나물신냉이),고들빼기,달래(달냉이),
잔대(딱주싹-참,개,가는잎등 변종다수),비름(참-개-쇠비름),망초,개망초,백년초선인장,쑥부쟁이,
돌미나리-미나리,유채,지칭개(쓴맛),소리쟁이,뽀리뱅이(보릿뱅이),엉겅퀴.,머위,신선초, 함초(퉁퉁마디)
뚱딴지(돼지감자)뿌리,원추리(놀기서리-된장국),차조기(자소엽),쇠무릅(우슬초),민들레(포공영),까마중,피마자
명아주(도트라지-시금치맛,지팡이만듬),쇠뜨기,질경이(차전초,),메꽃,무릇,자운영,토끼풀,
고마리,감국,갓(겨자,개자),달개비(닭의장풀),컴프리순,고사리-고비(구척-참고비,풀고비,범고비등)-관중순(뿌리는 독성)
참-개당귀,더덕잎과 꽃 뿌리,연잎과 꽃 연 어린잎과 뿌리,산마늘(명이),호박잎,고추잎,콩잎,고구마순,도라지(전체),
토란대와 뿌리당근어린잎,
최근에 배운 나물
꽃다지,제비쑥,지름쟁이(묵밭디디기),맥문동,아주까리,비비추-좀비비추-옥잠화,둥글래,뱀딸기,아기나리,쇠별꽃-개별꽃,
금낭화(밥풀꽃,며느리꽃),꿩의다리(꼬오발),꽃마리(토끼귀), 줄방아(벌깨덩굴),참방아,꿀풀,
달맞이꽃-꼭두서니(잘안먹음),갈대순,오이풀,산박하,노루귀(비단),삽주싹(창출-뿌리벗긴것 백출),산딸기순(복분자),
꽃마리(토끼귀),마디풀,톱풀,차풀,감국-국화잎,까치발,괭이눈,구기자,칼속새(씀바귀과),수영-큰까치수영(염),참마-산마,
환삼덩굴순,족도리풀 뿌리(미국에서는 생강대용으로사용),미국자리공 잎줄기(아스파라거스맛),바위떡풀,앵초,인삼어린잎,
범의귀(바위취,호이초),누리대,수영(싱아), 무릇(전초),속속이풀,꽃다지,양지꽃,쇠무릎(우슬초),
이름에 나물
=참-돌(돛.돌냉이)-우산(삿갓대가리)-각시-곶감-쇠서-나비(콩대가리)-선밀-모시-장대-솔-수송-짚신나물(선학초),
밤-조개-들깨-좀들깨(거북이꼬리)-점나도-가락지-메밀-삼베-반디-쪽박-윤판-나비-갯기름(식방풍)-물레-광대-가위-갈뀌-
놋젓가락-대-옹긋-바디(연삼)-무우-등골(천궁,궁궁이)-소귀나물뿌리-쪽박-삼나물(눈개승마)-활-콩-가락지-이밥-돌꼬지-꽃나물(홋카이도산)-
유독성나물=피-삿갓-장록(자리공)나물
아직 잘 모르는 나물
으아리(위령선),방풍,갯무,순채,새삼,봄맞이,초롱꽃,어수리,천마,탱자,부채나물,부들,창포,조뱅이,깨풀,양지꽃
참(백합)-애기나리,앵초,곤드레(곤달비),구릿대(백지),하수오(박주가리는 독초),구절초,초롱꽃,만삼,얼레지,
와 석산(꽃무릇)=하수오=덩이뿌리전분 구황우려서,둑새풀,살갈퀴,배초향,방가지똥,도깨비바늘,
인동초,누리대,수영(수영,광대,애기,큰까치수영),싱아(신맛),호장근,고수,노랑붓꽃,쑥부쟁이,얼레지,사상자(뱀도랏),야고디,골담초
천마괴경
나무순
참죽나무(절에서 애용-참가죽,개가죽나무-참중,가중),고추나무(개절초나무·미영꽃나무·매대나무,절춧잎,준줄뱅이,고추대나무),
병꽃나무,꼬리조팝나무,국수나무(우려서),남방잎(영남),생강나무,박쥐(박지)나무,노박나무,신나무, 옻나무순(주의),대추잎,매실나무순,
감-고욤나무잎,사위질빵,누리장나무순,화살나무(홑잎나물),느티나무순,찔레순,참두릅,음=엄나무(개두릅),
제피-산초=초피(장아찌),헛개,생강,화살나무(홑잎나물),뽕-산뽕잎,오미자순,다래순,오가피,가시오가피,
덩굴-으름,청미래(망개),민청가시덩굴,머루-새머루덩굴,노박
새순과 꽃-등나무,칡덩굴,진달래, 가막살나무순
콩과-싸리나무꽃과 순-광대싸리,댑싸리(비,답싸리),쉽싸리(개조박이,택란), 아카시아순과 꽃,자귀나무 순
어린순들-서,딱총,시무,푼지,털음,댕강,천선과,차,무궁화,닥,조팝,좀화살,예덕,꾸지,구기자,감태,개당주나무
왕대(참대)-죽순대(맹종죽)
주의가 요구된 주요 산나물, 약초 특징
▶ '털머위'는 식물 전체를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머위'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으나 독성을 가지고 있다.
머위는 이른 봄에 꽃이 먼저 피며 잎에는 털이 있고 부드러운 반면,
털머위는 잎이 짙은 녹색으로 두껍고 표면에 윤채가 나며 상록성으로 갈색 털이 많다.
머위 털머위(독성)
▶ '삿갓나물'은 뿌리를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우산나물'과 유사한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있어 소량만 사용된다. 우산나물은 잎의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거치) 잎이 깊게 2열로 갈라진 것이
5~9개가 돌려나는 반면, 삿갓나물은 줄기 끝에 잎의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은 잎이 6~8장이 돌려나는 특징이 있다.
우산나물 삿갓나물(독성)
▶ '동의나물'은 뿌리는 약용으로, 잎은 식용으로 많이 쓰는 '곰취'와 유사한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매우 강하여 직접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린잎은 둥근 심장형으로 유사하나 곰취는 잎이 부드럽고 미약한 털을 가지는 반면,
동의나물은 습지에서 자라고 잎은 앞ㆍ뒷면에 윤채가 나며 두꺼운 점이 다르다.
곰취 동의나물(독성)
▶ '박주가리'는 뿌리를 약용 및 식용으로 이용하는 '하수오'와 유사한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강하여 나물로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덩굴성인 점은
하수오와 유사하나 심장형인 잎은 줄기에서 서로 마주나며(대생), 잎을 자르면 흰색 즙이 나오는 반면,
하수오의 잎은 줄기에서 어긋나고(호생), 식물체에서 유액이 나오지 않는 점에서 잘 구분된다.
하오수 박주가리(독성)
▶ '여로'는 식물전체를 약용 및 식용하는 '원추리'와 유사한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강하여 바르는 용도로만 주로 사용된다. 여로의 원줄기 아랫부분은 그물과 같은 섬유로 싸여 있고,
잎에 털이 많고 길고 넓은(3~5cm) 잎은 대나무 잎처럼 나란히 맥이 많고 주름이 깊게 진 반면, 원추리의
기부는 섬유로 싸여 있지 않고 털이 없으며, 좁은 잎(1~2.5cm)은 아랫부분에서 서로 포개져 나오며 잎은
주름지지 않는 점에서 구별된다.
원추리 여로(독성)
▶ '박새'는 식물전체를 약용 및 식용하는 '산마늘'과 유사한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있어 피부병 및 집짐승의 강한 구토제로 사용된다. 산마늘은 식물 전체에서 강한 마늘냄새가 나며,
뿌리는 파뿌리와 비슷하고 길며(20~30cm) 넓은 잎(4~7cm)이 2~3장 달리는 반면, 박새의 잎은 여러 장이
촘촘히 어긋나며 잎의 아랫부분은 줄기를 감싸고 잎의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큰 잎(길이 20cm, 넓이 12cm)은 맥이 많고 주름이 뚜렷하여 잘 구별된다.
산마늘 박새(독성)
▶ '꿩의 다리'는 식물전체를 약용 및 식용으로 이용하는 '삼지구엽초'와 유사한 식물로 잎, 줄기,
종자를 약용 및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성숙한 개체는 독성이 있어 식용할 수 없다.
삼지구엽초의 난형 잎(길이 5~13.5cm, 넓이 1.5~7.2cm)의 가장자리는 털 같은 잔톱니가 발달한 반면,
꿩의 다리의 잎(길이 1.5~3.5cm, 넓이 1~3cm)은 작고, 3~4개로 갈라지고 끝이 둥근 점에서 구분된다.
삼지구엽초 꿩의다리(독성)
▶ '진범'은 한방에서 진교 또는 진범(秦范)라 하며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는 독성이 강한 식물로
박쥐나물, 귀박쥐나물과 유사하여 식별하기 쉽지 않아 나물로 무쳐 먹을 경우 소량일 경우도
심한 구토를 일으키게 된다.
진범 놋젓가락나물
▶ '놋젓가락나물'은 한방에서 뿌리를 초오(草烏)라 하며 맹독성식물로 사약의 주 원료로 쓰였으며,
이른봄 새순은 묵나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생체로 먹을 수 없다. 생체나물로 먹을 경우 심한 구토와
오한을 동반하게 되며, 양이 많을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 산림청
유도화..이것으로 젓가락을 만들어 사용하다가 중독된 사례도 있다
독말풀(만타라자,타투라)--만진 손으로 눈을 만지면 큰일

복수초
천남성
-뿌리는 사약의 재료로 쓰였다

|

앵초

환삼덩굴

애기똥풀
[주의해야 할 유독성 식물]산채나물공부방
동의나물
|
족도리풀은 세신이라는 생약명을 가진 약초이자 독초입니다.
우리나라에도 10여종 됩니다.
애호랑나비의 번식에는 이 식물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유래 http://blog.daum.net/iamletmesee/725
족도리풀 - 세신 (쥐방울덩굴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