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계명의 역할
하나님과 화목하는 첫째 계단은 죄를 깨닫는 것입니다. "죄는 불법이라"(요일 3:4),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롬 3:20). 죄인이 죄를 깨달으려면 먼저 자기의 품성을 하나님의 위대한 의의 표준에 비추어서 살펴보아야 합니다. 계명은 의로운 품성의 완전함을 보여 주는 거울로서 죄인에게 그의 결함을 깨닫게 해줍니다. 그러나 계명이 사람에게 그의 죄를 나타내 보여주기는 하지만 죄를 치료해주지는 못합니다. 계명은 순종하는 자에게 생명을 약속해 주는 반면에 계명을 범하는 것이 죽음임을 선고합니다.
오직 그리스도의 복음만이 죄의 선고와 더러움에서 사람을 해방시킬 수 있습니다. 사람은 하나님의 계명을 범하였기 때문에 하나님께 회개하고 그리스도를 속죄 제물로 믿어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 사람은 "전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 용서를 받고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됩니다. 그리하여 그는 하나님의 아들이 되어 양자의 영을 받고 "아바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제 하나님의 계명을 범하여도 무방한 것일까요?
바울은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계명을 폐하느뇨?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계명을 굳게 세우느니라"(롬 3:31), "죄에 대하여 죽은 우리가 어찌 그 가운데 더 살리요"(롬 6:2)라고 말합니다.
요한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은 이것이니 우리가 그의 계명들을 지키는 것이라. 그의 계명들은 무거운 것이 아니로다"(요일 5:3)고 하였습니다. 새로 남, 거듭남으로써 사람의 마음은 하나님의 계명과 일치됨과 동시에 하나님과 조화를 이루게 됩니다.
이 위대한 변화가 죄인의 마음속에서 이루어지면 그는 죽음에서 생명으로, 죄에서 성결로, 범죄와 반역에서 순종과 충성으로 옮겨지게 됩니다. 하나님과 멀어져 있던 옛 생애는 끝나고 믿음과 사랑으로 이루어지는 하나님과의 화목의 생애가 시작됩니다. 그리하여 "육신을 좇지 않고 그 영을 좇아 행하는 우리에게 계명의 요구를 이루어지게"(롬 8:4)합니다. 그 때에 심령에서 "내가 주의 법을 어찌 그리 사랑하는지요 내가 그것을 종일 묵상하나이다"(시 119:97)고 외치게 됩니다.
“여호와의 율법은 완전하여 영혼을 소성케"(시 19:7) 합니다. 계명이 없으면 사람들은 하나님의 신성성과 순결, 그리고 자기 자신들의 죄와 불결에 대하여 올바른 관념을 가질 수 없습니다. 그들은 죄에 대하여 진정으로 깨닫지 못하고 회개할 필요성도 느끼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계명을 어긴 자로서의 자신의 속절없는 상태를 알지 못하고 속죄하는 그리스도의 피가 필요함을 인정하지도 않습니다. 근본적인 마음의 변화도, 생애의 개혁도 없이 기독교 종교를 받아들입니다. 그리하여 피상적인 회개가 보편화되고 결코 그리스도와 연합한 경험이 없는 많은 사람들이 교회에 들어오게 됩니다.
모셔온 글
'진리와 생명의 증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7.51-53 (0) | 2019.12.28 |
---|---|
정말 성령을 받으셨습니까? (0) | 2019.10.27 |
복음의 역할 (0) | 2019.10.27 |
자신이라는 우상을 좆는 죄인들 (0) | 2019.10.21 |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 (0) | 2019.08.31 |